:: 케이엔티건설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
회사소개 사업분야 관리시스템 클린룸이란 주요실적 고객센터
   
 
 
HACCP이란 HACCP 진행절차 건축설계 시설지도  
 
식품공장 설계 시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식품공장에 대한 HACCP개념이 정확히 정리되지 않아, 식품공장을 전문적으로 설계하는 건축설계사와 시공업체, 시설설비업체, 기계설비업체 등 공장 전체에 대한 HACCP 시설기준의 이해나 경험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다행이 요즘들어 식품공장 설계, 시공 진행의 경험을 쌓아가고 있는 업체가 있지만 아직 HACCP 개념에 의한 수는 많이 부족한 상태여서 전문가의 도움없이 신축공장을 추진하면 추가로 많은 실패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식품 공장 신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식품 현장 경험과 전문가의 지도가 없으면 기업은 과잉 투자를 초래한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는 검증된 컨설팅 회사를 선택해야 한다.

한국산업품질연구원은 다년간 식품 회사를 경영한 현장 경험과 식품 환경에 대한 노하우로 식품 공장 시설 공사를 위한 일련의 과정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다. 신축 공장 설계단계부터 실무 전문가와 함께 식품 특성에 맞게 지도한다. 레이아웃 지도, 도면 지원, 건축 시설, 설비 공사에 대한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공장 전체에 기술지도, 리모델링 시설진단, 방향제시 등 현재 환경에 맞게 HACCP지정이 가능하도록 진행절차에 따라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축적된 경험으로 고객의 리스크를 최소화 한다.
 
공장설계, 시공을 위한 기술지도 사업의 필요성
HACCP지정을 위한 식품가공장의 설계, 시공 시 건축설계, 기계설계, 전기설계, 소방설계, Plant설계 등 각 분야의 엔지니어들의 기술력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식품공장의 특성상 HACCP의 Soft Ware 및 Hard Ware를 이해하고 있는 엔지니어가 많지 않은 것이 현재 국내 실정이다. 특히 HACCP지정을 위한 컨설팅 위주의 회사를 선택 하게 되면 기준만 제시 할 뿐 적절한 대안을 제시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그 기준을 이해하고 반영 할 식품공장의 설계, 시공의 경험을 가진 엔지니어가 없어 시공 후 재시공 및 미숙한 마무리가 우려되어 건축주의 Risk를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한다. 이를 없애기 위하여 통합 정리 할 수 있는 기술지도가 요구 된다고 사료된다. 계약 형태를 통하여 발주자의 부분적인 권한을 위임 받아 조정자(Coordinator)의 역할을 수행 하는 것이다.
 
- 식품특성에 맞는 레이아웃 설계, 도면제공
- 건축주 및 사업대행 관리자(건축담당자) : HACCP에 적합한 공사진행 방법 교육
- 건축사(건축, 토목, 조경, 오폐수) : 시공상세, 창호 등 HACCP System에 적합한 Check
- 기계설비(공조,냉동,위생,소방,자동제어) : Energy Save HACCP System에 적합한 마감 Check
- 전기설비(동력,전등,약전설비) : 조도설정,등기구,콘센트,장비연결공법 등 HACCP System에 적합한 마감 Check
- 생산설비 제조사 : 재질 바닥높이, 청소방법 등 HACCP System에 적합한 마감 Check
- 상세마감 재료지도 : 벽, 천정, 바닥, 배수로 등
- 각분야의 설계 엔지니어들의 설계지침, communication 및 조정 (Coordination)
 
설계 자료 제공준비
 - 생산품목 : 정리 (HACCP / GMP 인증, HACCP / GMP 비 인증 품목)
 - 생산 Process Flow (작업인원, 원료, 반제품, 제품, 부재료)
 - HACCP / GMP 적용 Point
 - 협력업체 검토 / 선정 실시간 미팅
 - 초기투자비 검토 / 자금 회수 비율검토 / 사업성 검토
 - 부지확보 (사업성 검토에 따른 장래확장 계획 : 건축주 사항)
 - 재료 공급 Line Check / 제품 납품처 확보 Check
 - 설계 필요자료작성, 설계업체 의뢰
 - 생산 제품량, 생산설비 및 인원
 - 생산 공정도(흐름도), 자동화 설비
 - 시설조사서 : 시설, 위치, 재원 (Size/형태/방향/재질/생산/용량/동력/필요 Utility 등)

실시설계
 - 건축 부분 : 평면/주 단면/입면 마감재료/시공 상세도
 - 토목 부분 : 터파기/기초/옥외바닥/축대/도로마감/조경/담장
 - 기계 부분 : 위생/공조/냉동/냉난방/자동제어/소방
 - 전기 부분 : 생산동력/동력간선/MCC/수변전/약전/통신/소방
 - 시설 장비 부분 : 가공기계/포장기계/세척기계/위생기계/Utility용 장비

시공사 설계 설명/견적 의뢰

시공사 견적 접수/검토 - 선정업체 계약

시공관리 점검

시설공사 최종점검

HACCP/GMP 시설 적용/업체 지정/인증신청 및 확보

 
의사결정
 - 건축주 생산계획, 투자계획, 판매계획
 - 건축사 설계, 조감, 법정 감리, 인허가 대행
 - 한국산업품질연구원
  · HACCP에 적합한 Lay out 조정
  · 식품공장에 적합한 마감상세
  · 기계, 공조, 전기, 위생설비 등 설계 지침

설계 조정단계
- 관련분야 검토 Cross Check
- 신축, Remodeling 평면도 작업
- 기계 부분 : 위생/공조/냉동/냉난방/자동제어/소방
- 전기 부분 : 생산동력/동력간선/MCC/수변전/약전/통신/소방
- 시설 장비 부분 : 가공기계/포장기계/세척기계/위생기계/Utility용 장비

실시 설계단계
- 원활한 시공을 위한 합리적 실시 설계 조정
- 경제적 공사를 위한 최적 설계 조정
- 완성도 높은 건축물을 위한 도면 작성 조정

착공 전 구체화 단계
- 업체 선정에 따른 현장 설명 Check
- 공사관리의 적합한 Check
- 공사 공정표 검토 Check
- 최종마감 재료 정리 Check

착공 현실화 단계
- 상세시공 검토 현장확인
- 설계변경 적합성 검토
- 공장가동전 최종점검

완공 공장 가동
- 고객만족
- 실패비용 최소화